사업현황

냉동/냉장

저온저장고, 냉동 · 냉장창고, 식품보관창고, 농수산물저온창고

농수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먹을 수 있는 농수산물"의 수준을 넘어서 "신선하고 품질이 우수하며 안전성이 높은 농수산물"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습니다.
또 농수산물 시장의 개방과 함께 외국 농수산물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품질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농수산물을 수확한 이후에도 신선하고 안전하게
관리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저온저장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보다 안정된 품질과 돋보이는 디자인, 우수한 성능으로 앞서가는 제품시공을 통해 고객만족을 실현하겠습니다.
철저한 안전설계를 바탕으로한 첨단기술력으로 단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우레탄 판넬을 사용함으로써 내부온도를 언제나 동일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신선도를 최상으로 보존합니다.

  • 우레탄판넬 설치공사

  • 우레탄판넬 설치공사

  • 우레탄 시공

  • 플로어히터 시공

  • 목제작업

  • 갈바륨 작업

  • 유니트쿨러 설치공사

  • 유니트쿨러 설치공사

  • 배관트레이 기압 조정변

  • 저소음 콘덴서(실외기) 설치공사

  • COMP 유니트 배관공사

  • 콘트롤판넬 설치공사

  • 환기도어 설치공사

  • 전동 슬라이딩도어 설치공사

  • 방열도어 보호대 제작시공

  • 저온저장고 시공완료

저온저장고 점검 및 준비

기밀과 단열상태 유지

저온저장고의 벽체에 틈이 생기거나 단열이 충분하지 않으면 외부의 열이 유입되므로 냉동기의 작동이 빈번해져 전력비가 많이 들며,
냉동기의 작동시간이 길어질수록 냉각기에 얼어붙는 수분도 많아져 저장물의 수분손실이 많아지므로 틈새가 생긴 부분은 철저히 메꾸어주고
신축하는 저장고는 단열재의 선정과 마무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저장 중에 저장고 문을 자주 열고 닫아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온도변화와 습도가 낮아지는 원인이 되므로 가능하면 출입을 삼간다. 저장고에는 출입을 위한 별도의 작은 문을 만들거나, 내부에 비닐커튼등을
설치하여 출입시에 공기유입을 방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으며, 단기 저장물과 장기 저장물을 별도의 저장실에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 좋다.

소독

저온저장고 내부에는 병원성 곰팡이나 세균이 많이 남아 있으며, 이러한 저장고를 계속 사용하면 냉각기의 바람에 의해 곰팡이 포자가 날려
저장물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또 저장고 내에 기생하는 곰팡이와 세균 중에는 에틸렌을 발생시켜 저장 중인 농수산물의 숙성을 촉진시키거나
과피 얼룩 등의 장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년 저온저장고를 가동하기 전에 저장고와 저장상자 및 팔레트를 소독한다.
소독은 염소나 주방용 세정제를 물에 타서 분무기 등으로 뿌려 씻어내는 정도로도 충분하며 소독 후에는 저장고 문을 열어두고 완전히 말리도록 한다.

기계장치의 점검

- 농수산물을 넣기 전에 저온저장고를 가동시켜서 설정온도가 정확하게 유지되는지
- 설정온도 까지 냉각되는데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리지 않는지
- 제어판에 포시되는 온도가 정확한지
- 성에제거 히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 냉동기의 압력이나 냉매흐름이 정상적인지
   이상이 발견될 경우에는 지체하지 말고 설치회사에 연락하여 수리를 받도록 한다.

적절한 온도와 상대습도의 유지

농수산물을 수확한 후 신속히 온도를 낮추어 주면 호흡활동이 억제됨으로써 내부성분의 분해가 지연되어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다. 적절한 습도관리도
중요하며 저온저장고 내의 상대습도가 낮으면 저장 중 수분손실이 많아져서 무게가 줄고, 표피가 말라 쭈글쭈글해지며, 과육의 아삭거림과 즙량이
줄어들어 신선도와 상품성이 나빠지고, 습도가 너무 높으면 부패가 많이 발생된다.

저온저장고 저장온도 / 동결점

구분 품명 저장온도(ºC) 상대습도(%) 저장기간 수분함량(%) 동결점(ºC)
과실류 -0.5 ~ 0 85 ~ 90 2~3주 78.2 -2
감귤 0 ~ 1 85 ~ 90 8~10주 87.2 -2
딸기 -0.5 ~ 0 80 ~ 85 7~10일 90
레몬 12.5 ~ 14.5 85 ~ 90 1~4개월 89.3 1.5
바나나 13.5 ~ 22 85 ~ 95 2주 75.5 2.2
-1.5 85 ~ 90 1개월 83.5 -1.7
복숭아 -0.5 ~ 0 80 ~ 85 1~4주 86.9 2
사과 -1 ~ 0 85 ~ 88 4개월 84.1 -1.5
수박 -0.5 ~ 0 75 ~ 85 2~3주 92.1 -2
자두 -0.5 ~ 0 85 ~ 90 3~8주 85.7 -1.5
파인애플 4.5 ~ 7 85 ~ 90 2~4주 85.3 -2
포도 -0.5 ~ 0 85 ~ 90 3~8주 81.9 -1.5
낙농품 우유 신선 0 ~ 1.5 88 ~ 92 1~6주 62 ~ 77 -2.5
동결 -23.5 ~ -17 90 ~ 95 9~12주 -2.2
돈육 신선 0 ~ 1.5 85 ~ 90 3~7주 35 ~ 42
동결 -25.5 ~ -17.5 90 ~ 95 4~8개월 -2.5
조류 신선 0 80 1주 73
동결 -29 90 ~ 95 3개월
신선 0 ~ 1.5 85 ~ 95 7~12일 47 ~ 54
동결 -23.5 ~ -17.5 90 ~ 95 6~8개월 -2.5
베이컨 신선 -23.5 ~ -17.5 90 ~ 95 4~6개월
동결 15.5 ~ 17 85 4~6개월 13 ~ 29
쏘세지 4.5 ~ 7 85 ~ 90
버터 -14 80 6개월 12
치즈 1 65 ~ 70 3개월 37 ~ 38 -2.5
염장육 -0.5 ~ 0 66 -2.5
계란(생) -17 ~ 0.6 80 ~ 85 1~9개월 83
수산물 대구 -4 85 2주 85 -2.2
고등어 0 ~ 1 95 ~ 100 6~8일 64 -1.5
연어 -1 ~ 1 95 ~ 100 18일 70 -2.2
다랑어 0 ~ 2 95 ~ 100 14일 45 -2.2
염장어 0 78 1주 62 ~ 85 -2.2
동결어 -23.5 ~ -17.5 90 ~ 95 8~10개월 76
바다새우 -4.4 ~ 3.9 80 1개월 80
조개살 0 ~ 1 95 ~ 100 12일 87
조개, 굴 0 ~ 2 100 5~8일 80 -32
굴(통체) 5 ~ 10 95 ~ 100 5일 -2.2
냉동조개 -29 ~ -16 95 ~ 100 3~8개월 92.4 -2.8
야채류 양배추 0 ~ 90 ~ 95 3~4개월 88.2
인삼 0 95 ~ 98 4~5개월 96.2 -0.5
오이 7 ~ 10 80 ~ 85 9~14개월 92.7 -0.5
가지 7.2 ~ 10 85 ~ 90 7~10개월 87.5 -1
양파 0 70 ~ 75 6~8개월 91.1 -0.9
버섯 0 ~ 0.5 80 ~ 85 1~2주 74.3 -1
완두 0 85 ~ 90 74.3 -1 -1
건조 1.5 ~ 4.5 6개월 -1
감자 3.5 ~ 10 85 ~ 90 2개월 77.8
토마토 4.5 ~ 10 85 ~ 90 7~10일 94.1 -1.5
고구마 13 ~ 15.5 75 ~ 80 4~6개월 68.5 -1
일반식품 초코렛 7 ~ 10 75 6개월 -2
아이스크림 -12 ~ -18 65 3개월 67 0.3
주류 4.5 ~ 7
포도주 10 85 6개월
밀봉 -0.5 ~ 10 1년이상 18
1 75 6개월 36
-17.5 수주 32 ~ 37

위 표는 참고용이며 특정조건을 고려 및 대용량의 조건 하에서는 저온저장고용 부하계산을 거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