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현황

크린룸

크린룸이란?

크린룸(CLEAN ROOM)이란 공기 중의 부유 미립자가 규정된 청정도 이하로 관리되고 또한 그 공간에 공급되는 재료, 약품, 물 등에 대해서도
요구되는 청정도가 유지되며 필요에 따라서 온도, 습도, 압력,기류의 분포 등의 환경조건 등에 대해서도 관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입니다.
클린룸의 청정도는 공간 내의 부유입자 농도에 따른 청정도 클래스에 의해 체계화됩니다.

크린룸(CLEAN ROOM)은 반도체 산업 뿐만 아니라 정밀기기,전자산업,의학품제조,식품제조산업,광학기기,병원,실험실 자기테이프나 사진용필름, 특수인쇄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이용되며, 요구되는 청정도 또한 각각의 공정에 따라 상이하게 구분 됩니다.
그리고 CLEAN ROOM은 외부로부터 진애 입자등을 유입시키지 않기 위하여 시설 전체를 오염구역,준청정구역,청정구역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하여 구역간에는 AIR SHOWER나 PASS BOX를 통한 출입을 하여 공간과 공간사이에 공기의 유통을 막으며 각 공간에는 공기의 역류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DAMPER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청정도 유지를 기하여야 합니다.

  • ICR (Idustrial Clean Room)

    공기 중의 미세먼지,유해가스,미생물 등의 오염물질까지도 극소로 만든 클린룸으로 반도체산업,
    디스플레이산업,정밀측정,공업 분야에 적용되며 주로 미세먼지 청정 대상으로 한다.
    ( 반도체, 전자, 정밀, 광학계측 등 )

  • BCR (Biological Clean Room)

    미세먼지 미립자 뿐만 아니라 세균,곰팡이,바이러스 등도 극소로 제한하는 클린룸으로 병원의 수술실, 무균병실, 동물
    실험실, 제약공장, 유전공학 등에 적용되고 있다.
    ( 제약, 식품, 병원, 동물사육실 등 )

  • 기타 적용분야

    - GLP (Good Laboratory Practice: 우수실험실운영기준 ) 의약품, 화장품, 화학물질 등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실시하는 각종 독성시험의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연구인력,
    실험시설ㆍ장비, 시험방법 실험동물의 사육, 검역등 시험의 전 과정에 관련되는 모든 사항을 조직적,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규정입니다.

    -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기준) 품질이 보증된 우수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제조소의 구조설비를 비롯하여 원료의 구입 부터
    제조, 포장, 출하에 이르기까지의 전공정에 걸쳐 제조와 품질의 관리에 관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규정을 말한다.

    -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 식품의 원료,제조 가공 및 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물질이 해당식품에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위하여 각 과정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기준

크린룸의 5원칙

  • CLASS표 (FED-STD 209C)

    크린룸
    클라스
    미립자
    입자㎛ 입자수개/ft³
    1 ≥0.1 ≥35
    ≥0.2 ≥7.5
    ≥0.3 ≥3
    ≥0.4 ≥1
    10 ≥0.1 ≥350
    ≥0.2 ≥75
    ≥0.3 ≥30
    ≥0.4 ≥10
    100 ≥0.2 ≥750
    ≥0.3 ≥300
    ≥0.5 ≥100
    1,000 ≥0.5 ≥1,000
    ≥5 ≥7
    10,000 ≥0.5 ≥10,000
    ≥5 ≥70
    100,000 ≥0.5 ≥100,000
    ≥5 ≥700

    Clean Room의 CLASS별 표준적 순환 풍량

    청정도 환기 횟수(회/hr)
    Class 100 200~600
    1,000 50~70
    10,000 30~40
    100,000 20~30

기류방식

수직 층류형(Down Floor System)

HEPA필터를 천정 전체에 부착시켜 취입구로 하고, 기류를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흘러보내는 방식으로 청정 Class 100이하에 적당합니다.
- C/R내의 청정도는 실내에서 작업하는 사람수에 좌우되지않으며, 고도의 청정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 C/R내의 먼지가 쌓이거나 입자가 떠돌아 다니는 일이 적고 C/R내에서 발생한 먼지도 기류에 의해 제거되므로 오염상태로부터의 회복이 빠릅니다.

수평 층류형(Side Floor System)

HEPA필터를 벽 일면에 부착시켜 취입구로 하고, 기류를 균일한 속도로 일정 방향으로 유지하고, 오염입자가 가라 앉기전에 반대쪽의 배출구까지 공기를 불어내는
방식으로 청정도 100~10,000에 적용됩니다.
- C/R내의 오염입자의 움직임이 적고 사용하지 않는 공간등에도 먼지가 쌓이지 않습니다.
- C/R의 청정도가 안에서 작업하는 사람수에 크게 좌우되지 않습니다.
- 환기 횟수가 많기 때문에 정화시간이 짧아도 됩니다.

난류방식 (비층류방식 · Conventional System)

HEPA필터를 사용하여 천정의 취입구로부터 송풍하고, C/R내의 한구석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구로 부터 순환공기를 흡수하는 방식으로 청정도
Class 10,000이상에 적당합니다.
- 필터교환 및 공기처리가 간단합니다.
- 크린벤치(Clean Bench)를 병용하면 Class 높은 청정도가 얻어집니다.
- 설비비가 저렴합니다.
방식항목 수직층류방식
Vertical Laminar
Airflow Clean Room
수평층류방식
Horizontal
Laminar
Airflow Clean
Room
난류방식
Turbulent Airflow
Clean Room
혼류방식
Mixed Airflow
Clean Room
터널방식
Tunnel Clean
Room
청정도 M1.5 ~3.5
(Class1~100)
M3.5
(Class100)
M4.5~6.5
Class
(1,000~100,000)
N4.5~6.5
Class
(1,000~100,000)
M1.5~3.5
(Class~100)
가동시 청정도 작업자로부터의 영향
이 적다
상류의 발진이 하류
에 영향을 끼친다
작업자로부터의 영향
이 있다
레이아웃에 따라 작
업자로부터의 영향이
약간 있다
작업자로 부터의 영
향이 가장 적다
초기투자
비용
운전비
제조장치
보수
Room 내부 혹은
Return Space부터
시행
Room 내부 혹은
Return Space부터
시행
Room 내부 부터
시행
Room 내부 혹은
Return Space부터
시행
Return Space 부터
시행
확장성 곤란 곤란 다소 곤란 곤란 라인마다 증설가능
정밀제어 실 전체 제어 때문에
실내에서의 불균형
약간있음
상류의 발진이 하류에
영향을 미침
불균형 있음 불균형 있음 작업부마다 고정밀도
제어가능
방식

대기 중 입자의 크기

대기중에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는먼지, 기름,연기 및 금속분말 등에서부터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미립자 등 각종 먼지가 부유하고 있습니다.
그 입자들의 크기는 0.01㎛ 에서 100㎛ 정도까지 대기중에 1,000,000개 정도로 광범위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람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입자의 크기는 10.0㎛ 이상이며 이러한 먼지는 크린룸에서 제거하기에는 너무 크기 때문에 공기조화기(AHU)에서 제거되어야 합니다.
크린룸에서 제어되는 먼지 입자의 크기는 1.0㎛ 이하의 Sub Micro 입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FED(미연방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청정도 대상입자는 0.5㎛을
표준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크린룸 시공과정

  • 사용 목적/작업 내용 분석
  • 청정도/온, 습도 결정
  • 입지조건과 건축구조
  • 작업 Layout
  • 공사 준비
  • 공사 착수
  • 공사 완료
  • 보수, 관리